1. 소개 및 설립 목적
소개
안녕하십니까?
국가참조표준 한국인 인체 동작분석 데이터센터에 방문에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지정 받아 국가를 넘어 세계 표준을 선도하는 센터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또한, 한국인의 표준 동작분석 데이터가 산,학,연,병 등 각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국민의 삶의 질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설립 목적
본 데이터센터는 보건의료 분야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한국인 인체 동작(보행)분석 기준값의 구축 및 표준화된 측정 방법을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개설되었습니다.
신뢰도 높은 데이터 수집은 모든 연구의 출발점이며, 체계적으로 장기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은 연구의 시간적 범위 뿐만 아니라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고, 더 나아가 사회·보건·경제·학문적 발전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장기적인 전망을 갖고 연구에 필요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생산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한국인인체동작분석 데이터센터를 운영하여 한국인 인체 동작분석 참조표준데이터를 개발·보급하고자 합니다.
한국인 인체 동작분석 데이터센터 조직도

2. 참조표준 데이터 소개
"참조표준"이라 함은 측정 데이터 및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평가하여 공인함으로써 국가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널리 지속적으로 사용되거나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자료로서 물리화학적 상수, 공인된 물성 값, 공인된 과학기술적 통계 등 (국가표준 기본법 제3조 7항)
▶ 표준원 홈페이지로 이동
3. 한국인 인체 동작분석 데이터
(1) 보행의 선형지수(Temporal spatial), (2)보행의 운동형상학(Kinematics), (3)보행의 운동학(Kinetics) 데이터가 수집됩니다.
- 보행의 선형지수(Temporal spatial)
- (1) 반대쪽 발들림(Opposite foot off): 반대쪽 발이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기간
- (2) 반대쪽 발접지(Opposite foot strike): 반대쪽 발이 떨어진 상태에서 발 뒤축의 접지가 일어나는 시기
- (3) 발들림(Foot off): 발이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기간
- (4) 첫째 양하지 지지기(First double support): 초기 접지기 직후인 하중반응기 동안에 유발
- (5) 둘째 양하지 지지기(Second double support): 발가락 들림 직전인 전 유각기에 일어나며, 반대측 다리에서의 하중 반응과 동일한 시각에 일어남
- (6) 단하지 지지기(Single support): 반대편 다리가 유각기에 있는 시기로서 중간 입각기
- (7) 보장(Step length): 두 발 사이의 거리로 우측 보장은 우측 발이 앞에 있을 때 좌측 발의 첫 접지점에서 우측 발의 첫 접지점까지 거리
- (8) 분속수(Cadence): 단위 시간(1분) 동안의 보장 수
- (9) 보행 속도(Walking speed): 단위 시간 동안의 보행거리(cm/sec, m/min)이며, 보장x분속수로 구함
- 보행의 운동형상학(Kinematics)
- (10) 골반 경사(Pelvic tilt):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의 10°의 전방경사
- (11) 골반 측방경사(Pelvic obliquity): 관상면(Coronal plane)에서의 평균 4°반대편 경사
- (12) 골반 회전(Pelvic rotation): 횡단면(Transverse plane)에서의 10°(5 전방회전과 5°후방회전)
- (13) 고관절 굴곡(Hip flexion):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 보행 주기 동안에 고관절이 굴곡된 각도
- (14) 고관절 내전(Hip adduction): 관상면(Frontal plane)에서 보행 주기 동안에 고관절이 내전된 각도
- (15) 고관절 회전(Hip rotation): 횡단면(Transverse plane)에서 보행 주기 동안에 고관절이 회전된 각도
- (16) 슬관절 굴곡(Knee flextion):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 보행 주기 동안에 슬관절이 굴곡된 각도
- (17) 슬관절 내반(Knee varus): 관상면(Frontal plane)에서 보행 주기 동안에 슬관절이 내반되는 각도
- (18) 경골 회전, 양과 축(Tibial rotation, transmaleollar axis): 중립 위치로 놓은 발의 장축과 경골 내과(Tibia medial malleolus)와 비골 외과(Fibula lateral malleolus)를 이은 선과의 각도
- (19) 족관절 족배굴곡(Ankle dorsiflextion):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 보행의 운동학(Kinetics)
- (20) 고관절 굴곡/신전 모멘트(Hip Flx/Ext moment): 고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에 발생하는 모멘트
- (21) 고관절 굴곡/신전 힘(Hip Flx/Ext power): 고관절의 동심성 수축은 힘의 형성이고 편심성 수축은 힘의 흡수이다.
- (22) 슬관절 굴곡/신전 모멘트(Knee Flx/Ext moment):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말한다.
- (23) 슬관절 굴곡/신전 힘(Knee Flx/Ext power):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에 발생하는 힘의 형성과 흡수
- (24) 족관절의 족배굴곡/족저굴곡 모멘트(Ankle DFPF moment): 족관절의 족배굴곡과 족저굴곡 시에 발생하는 모멘트
- (25) 족관절의 족배굴곡/족저굴곡 힘(Ankle DFPF power): 족관절의 족배굴곡와 족저굴곡 시에 발생하는 힘의 형성과 흡수
4. 동작분석 데이터 필요성
- (1) 참조표준 및 기준값 부재
- - 현재 국내에서 인체 동작(보행)분석의 정상 데이터 값은 부재한 상황입니다.
- - 국외에서도 마찬가지로 정상인에 대한 보행분석의 표준 값이 부재한 실정이며 보행 데이터 필요 시,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조사 후 사용하고 있어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검증이 부족하고, 대표성을 띄는 값이 부재합니다.
- (2) 고령화와 장애 인구 증가에 따른 인체 동작분석 참조표준의 필요성
- - 동작(보행)분석 데이터는 국내·외적으로 데이터의 활용도는 매우 높으나, 이를 객관적으로 비교한 기준 데이터가 없습니다. 또한 동작(보행) 데이터는 활용 범위 또한 제한적이고 신뢰도 수준이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령화 및 장애화 등 거시적 사회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연구에 필요한 장기 데이터의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3) 보건∙의료 서비스 산업의 발전
- - 보행 보조기 등 의료기기의 개발이나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인의 연령별 또는 질병의 유무에 따른 정상인의 동작분석 참조표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 - 표준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프로토콜 개발 과정에서 각 평가방법에 대한 정량화, 객관화 방법이 도출될 것이고, 이를 통해 고령자 및 장애인에 대한 의학적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5. 활용 계획
비용과 인력의 부족으로 그동안 보건 의료계의 숙원 과제로 남아있던 신뢰도 높은 한국인 인체 동작분석 데이터를 개발하여 접근성이 높은 보급체계를 갖추기 위한 보건/의료적 판단 기준, 학문적 표준 값 제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3. 오시는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분당서울대학교병원